나물과 약초

며칠 전 촬영한 만삼입니다.

Illinois 2006. 10. 28. 14:14

며칠 전 찍은 사진입니다. 약간 알아보기 힘듭니다. 거의 다 져가는 때라서 더욱 형태를 알아보기가 어렵군요.

귀한 것으로, 주로 부인병이 있으신 분들께 효험을 보이는 약초입니다.

더덕은 남성, 만삼은 여성에게 어울린다고 할 수 있습니다.

 

 



 

만 삼
  
학명 :  Codonopsis pilosula (Franch.) Nannf.
분류군 : 초롱꽃과
영어명 : Tangshen, Pilose Asia-bell
개화기 : 칠팔 월
꽃색 : 파랑

 

잎은 호생하지만 짧은 가지에서는 대생하고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며 둔두 원저이고 길이 1-5cm, 나비 1-3.5cm로서 양면에 잔털이 있으며 특히 맥 위에 많고 표면은 녹색, 뒷면은 분백색이며 가장자리가 보통 밋밋하고 엽병은 길이 2-3cm로서 털이 있다.
열매 - 삭과는 편원추형이며 꽃받침이 숙존하고 9-10월에 익어 끝이 3쪽으로 터져 종자를 쏟아낸다. 종자는 작고 많은데 길고 둥글며 날개가 없는 갈색으로 광택은 없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측지 끝에 1개씩 달리고 그 밑의 엽액에서도 계속 피며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털이 없으며 길이 15mm, 나비 5mm로서 피침형이다. 화관은 종형이며 자주색이고 길이 2.5cm, 지름 1.5cm로서 끝이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삼각형이고 길이 5mm이다. 
덩굴줄기는 다른 물체에 감아 오른다. 전체에 털이 있고 자르면 유액이 나온다.
뿌리줄기는 곤봉 모양이다. 뿌리는 원주형으로 길이 20-30cm, 지름 0.5-2(10)cm이며 겉이 황갈색을 띤다.
원산지는 한국으로, 강원도 이북의 심산지역에서 주로 자라며 남쪽에서는 지리산 천황봉 정상에서도 자란다.
다년생 덩굴성 초본으로 줄기가 1-2m로 자란다.

 

꽃/번식방법
▶실생으로 번식한다. 흔히 산간 자연생에서 묘두를 캐서 옴겨심은 후 씨앗을 채취해서 재배용으로 사용한다. 파종시기는 가을에는 10~11월경, 봄에는 3월 상·중순 경이 적당하다.
 
재배특성
씨앗 또는 묘두로 번식하나 흔히 산간 자연생에서 묘두를 캐서 옮겨심은 후 씨앗을 채취해서 재배용으로 사용한다.
▶모종기르기-파종시기는 가을에는 10~11월경, 봄에는 3월 상·중순경이 적당하다. 모판은 볕이 강하게 쪼이는 곳이나 바람이 강한 곳은 피해야 한다. 본밭 10a당 50㎡ 모판에 두엄 100kg, 나무재 12kg, 과석 10kg을 밑거름으로 준다. 모판은 90cm 폭에 높이 6cm로 하여 흩어뿌림을 한 후 흙을 덮는다. 50㎡당 씨앗소요량은 1ℓ이다. 파종후에는 언제나 습윤할 정도로 물을 뿌려 주고, 발 긴 것으로 볕가림을 해주면 2주일쯤 지나서 싹이 튼다. 완전히 싹이 틀 때 밀생 부분을 솎아 주고 풀도 뽑아 주어야 한다. 늦여름이 되면 봄 또는 가을에 파종한 것 모두 볕가림을 제거하여 햇볕을 받도록 해야 한다.
▶아주심기-가을의 10월 하순~11월경까지 모를 캐내서 본밭에 심는다. 본 밭은 깊이 갈고 두엄 1,500kg, 나무재 37kg, 과석 40kg등의 밑거름을 준다. 심을때는 이랑나비 60cm, 포기사이 15cm간격으로 심는다.
▶관리-심은 후 볕가림 시설을 해주면 더욱 좋고, 풀뽑기와 북을 돋아준다. 볕가림 시설을 했을경우에는 초가을에 다시 제거해주어야 한다. 덩굴이 길게 뻗을 때에는 받침대를 세워주어야 한다.

결실기 - 9월,10월

 

이용
▶뿌리를 식용으로 한다.
▶근(根)을 蔓蔘(만삼)이라 하며 약용한다.
①가을에 지상부분을 제거하고 흙을 깨끗이 씻어서 햇볕에 말린다.
②약효 : 補中(보중), 益氣(익기), 生津液(생진액)의 효능이 있다. 脾胃虛弱(비위허약), 氣血兩虧(기혈양휴-氣分(기분), 血分(혈분)을 모두 해치는 것), 體倦無力(체권무력-피로권태), 식욕부진, 口渴(구갈), 精神不安(정신불안), 肺虛咳嗽(폐허해수), 煩渴(번갈), 久瀉(구사-오랜 설사), 脫肛(탈항)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10-15g, 대량으로는 30-60g을 달여서 복용한다. 혹은 바짝 졸여서 膏劑(고제)로 하던가 丸劑(환제), 散劑(산제)로 해서 복용한다.
 
특징 - 줄기와 잎에 털이 있고, 더덕보다 연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