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버섯

꽃송이 버섯 처치와 성분, 음용

Illinois 2005. 8. 19. 19:13

꽃송이 버섯이란?

 

꽃송이버섯은 민주름버섯목, 꽃송이버섯과에 속한다. 학명은 Sparassis crispa Wulf.ex.Fr. 이다. 자실체는 하나의 뿌리에서 자라 펴진 다수의 꽃잎모양의 작은 집합체이다. 꽃송이버섯의 색은 전체적으론 담황색혹은 흰색이며 여러개의 가지로 나뉘어져 있고 두께는 1mm정도로 편평하며, 가지 끝은 꽃잎 모양처럼 꼬불꼬불한 것이 특징이다. 전체직경은 20-40 센치의 반구형이며 높이는 10-30센치 정도이다. 자실층은 양면에 형성되나 옆으로 자라면 아래면에만 자실층이 형성된다. 포자는 무색, 민둥하고 타원형이다. 세계의1과1속 1종의 특이한 버섯에 속한다. 영문으로는 cauliflower mushroom이라 불리기도 한다.

 

분포지역은 한국,일본,중국,유럽,미대륙이라 알려졌으나 이중 미국에서 1번의 보고가 있었던 정도이고 국내에서는 자연산이 발견되지 않고 있어 일반인들에게는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신비함을 간직한 버섯이다.일본에서 발견되는 꽃송이버섯종은 여름에서부터 가을에 걸쳐 고산지대에 자생하며주로 북해도에서 관동지방에 걸쳐 분포한다고 보고되었다. 전나무, 소나무 등 침엽수의 그루터기 또는 수목의 뿌리부분에서 간혹 발견 되나 드물게는 너도밤나무나 메밀잣밤나무 등의 활엽수에도 발견된다. 꽃송이버섯을 먹으면 씹는 맛이 좋고 고약한 냄새가 안나며 은은한 송이버섯 향을 자랑한다. 이 버섯과 비슷하게 생긴 독버섯은 없기 때문에 쉽게 꽃송이버섯이라고 알아볼 수 있어 안심하고 먹을 수 있다.

 

:: 학명 : Sparassis crispa Wulf. ex Fr.

:: 분류 : Sparassidaceae과 Sparassis속  

::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북미, 유럽, 호주 등

:: 형태 : 흰색, 담황색의 꽃양배추 모양

:: 발생 : 8-9월 소나무, 잣나무, 전나무 등 침엽수의 뿌리부근 땅위나 그루터기

:: 맛 : 씹는 맛이 좋고 송이버섯 같은 은은한 향

 

추출 및 복용방법

:: 건조버섯은 유효성분인 베타글루칸(β•1 →3D•glucan)을 보다 많이 추출하기 위해 번거럽  더라도 열수추출전에 알코올 추출 등 2단계 과정을 거치는 것이 좋습니다.   

● 추출방법 : 10일 30회분 건조버섯 50g 기준 추출방법

 

      ① 알콜 침출

         - 적당한 크기의 용기에 버섯 50g을 넣는다.

         - 버섯이 잠길 정도까지만 35% 알코올(술)을 넣는다.

         - 뚜껑을 닫고 3일 이상 침출한다. 1일 일정횟수 흔들어 준다.

 

      ② 버섯 분쇄

         - ①을 가정용 믹서에 넣고 버섯이 곱게 분해될 때까지 분쇄한다.

      ③ 열수 추출

         - ②를 가열 가능한 5ℓ 이상 용기에 넣는다.

         - 전체 양이 5ℓ가 되도록 물을 붓는다.

         - 3ℓ(전체의 50-60%)정도가 남을 때까지 세지 않은 불로 가열한다. (거품 넘침 주의!)

 

      ④ 보관방법

         - 밀폐 가능한 페트병 용기에 나누어 넣는다.

         - 반드시 냉장고에 보관한다.

 

● 복용 방법

      ① ④를 잘 흔든 후 1회분 (약 100㎖, ③의 1/30; 2/3컵 분량)을 1일 3회 식사 30분 전에 음용합니다.

      ② 기호에 따라 음용전 약간의 꿀을 첨가하여 드셔도 무방합니다.

      ③ 일본의 임상결과에 의하면 최소 6개월 이상 장복이 필요합니다.

 

 

 

상세 설명
베타글루칸이란 ?
:: 버섯의 항암작용은 베타(β)­글루칸이 그 활성에 크게 관여한다는 사실은 많은 연구학자에 의하여 발표됨.

:: 다당체의 일종인 베타글루칸은 세포조직의 면역기능을 활성화시켜 암세포의 증식과 재발을 억제하고 면역세포의 기능을 활발하게 하는 인터루킨(interleukin), 인터페론(interferon)의 생성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음.

:: 실제로 구름버섯의 균사체에서 클레스틴(PSK)이, 표고버섯의 균사체에서 렌티난(LNT)이, 치마 버섯의 균사체에서 소니필란(SPG)이 추출되어 항암제로 임상에 활용되고 있음.

베타글루칸의 종류
:: 버섯종류별 β-glucan의 종류
- 꽃송이버섯, 영지버섯, 표고버섯, 잎새버섯, 신령
버섯(아가리쿠스)

:: β-Glucan의 불가사의
(1) 버섯이 면역기능을 높일 수 있는 이유
85년과 87년 두 번에 걸쳐 당시 레이건 미대통령이 피부암 수술을 받고 그 후 암세포가 전이 되는 것도 없이 보기 좋게 완전히 회복되었다. 수술 후 장기간에 걸쳐 레이건은 브라질산의 버섯을 섭취하고 있었다는 사실이 나중에 밝혀지게 되었고 매스컴의 화제를 불러일으켰다.
이것을 계기로 버섯 존재가 일약 각광을 받았고 일대 버섯붐이 도래하였던 것이다.
이와 동시에 버섯이 가지고 있는 불가사의한 힘, 결국 면역세포의 활성화 기능이라고 불리는 것에 세계의 이목이 모아지게 되었다. 면역세포의 활성화라고 하면 무엇인지 어렵게 들릴 수 있으나
요약하면 인간의 신체에는 원래 질병에 대항하여 이길 수 있는 자연치유력이 갖추어져 있다고 할 수 있다. 그 기능을 높일 수 있는 것을 면역력의 활성화라고 한다.

이러한 버섯이 질병의 예방이나 건강의 회복에 효과가 있는 것은 동양의학의 세계에서는 오래 전부터 알려져 오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β-glucan이라고 부르는 여러 가지 버섯에 함유되어 있는 고분자 다당이야 말로 면역세포를 활성화하는 근원이 된다는 것을 알게된 것은 대체로 1960년 전후에 이르면서부터라 할 수 있다.

어떤 실험에서 사람이 버섯의 엑기스를 섭취하면 백혈구의 한가지로 존재하는 마크로파지라고 하는 면역세포의 활동이 활발하게 되는 것이 밝혀지게 되었다. 그 후 연구가 진행되어 그 활발화의 원인이 되는 성분이 β-glucan이라고 하는 것이 알려지게 된 것이다. 1970년대에 들어서면서 암세포의 증식억제효과의 연구가 더욱 더 촉진되게 되었고 그에 따라 β-glucan의 생리활성화 작용도 넓게 주목받게 되었던 것이다.

당초에는 버섯이 식용으로 일반적으로 친숙함이 더해갈 때부 "암세포의 증식억제효과를 가진 것은 버섯"이라는 이미지로 세상의 관심이 모아지게 되었다. 그런데 실제로는 그 억제 효과의 근원이 되고 있는 것이야말로 β-glucan으로 밝혀진 사연인 것이다. 게다가 이 β-glucan은 버섯 등의 균류에만 함유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고 하는 것도 그 후의 연구에 의해 밝혀지게 되었다.

β-glucan은 전분등의 두류, 섬유소 등의 수액류, 효모등의 미생물, 홍조나 녹조 등의 해조류, 오크라(okra)나 식물고무등의 고등식물, 전칠인삼 등에도 포함되어 있지만 그 효용은 아직도 의외로 알려지지 않았다.

예를 들면 암에 걸린 사람들은 그 대부분이 버섯의 존재를 알고 있다. 그러나 암세포의 활동을 직접적으로 억제하는 것은 신체내의 면역세포라는 것, 그리고 그 면역세포를 활성화시키는 것이 버섯 중에 포함되어 있는 β-glucan이라고 하는 성분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는 사람은 아주 적다는 것이다.

(2) β-glucan 1,3-1,6의 비밀
그러면 β-glucan이 면역세포를 활성화하는 비밀은 어디에 있는 것일까.
먼저 glucan이라는 것은 다당류의 일종이다. 다당류라는 것은 포도당이나 과당 등 당류가 최소단위로 단당이 결합하고 있는 것이다. 다당류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으나 그 중에서 glucan의 특징은 포도당만이 연결되어 있다는 점이다.

다당류인 glucan에는 종류가 두가지 있다. 한가지는 α-glucan이라고 하며, 다른 한가지가 β-glucan이다. 그 차이는 단당이 결합하고 있는 방식에 의해 생긴다. 단당이 서로 α결합을 이루고 있는 것을 α-glucan, β결합을 이루고 있는 것을 β-glucan이라고 부른다.

α-glucan도 β-glucan도 점성이 있는 점에서는 비슷하다. 그러나 면역세포의 활성화라는 점에서는 전혀 기능이 다르다. 같은 lucan이라도 α-glucna에는 면역활성기능이 전혀 없고 면역세포를 활성화하는 것은 오로지 β-glucan 뿐이다.

또한 β-glucan 중에서도 단당의 결합방식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가 생긴다. 면역활성기능의 연구가 진행됨에 따라 그 다양한 종류 중에서도 특히 "β-glucan 1,3-1,6"이라고 부르는 것이 아니고는 충분한 면역활성기능이 기대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게 되었다. β-glucan에는 "1,3결합" "1,4결합" "1,6결합" 등으로 불리는 여러 가지 결합 방식이 있다. 이 1과 3이라는 숫자는 포도당에 포함되어 있는 탄소원자에 붙여진 번호를 표시하는 것이다. 예를들면 포도당의 1번탄소와 3번탄소가 β결합을 이루고 있는 것을 "β-glucan 1,3", 1번탄소와 6번탄소가 β결합을 이루고 있는 것을 "β-glucan 1,6"이라고 부른다.

또한 β-glucan의 구조는 나무의 그것과 비슷해서 줄기와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나무로 말하면 줄기를 이루는 부분을 주쇄라고 부르며, 가지를 이루는 부분을 분지라고 부른다.
결국 "β-glucan 1,3-1,6"이라고 하면 β-glucan 중에서도 특히 주쇄의 부분이 "1,3" 형의 결합을 하고, 분지의 부분이 "1,6"형의 결합을 하고 있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형으로 되어있지 않으면 충분한 면역활성기능은 기대할 수 없는 것이다.

(3) 면역시스템의 주력부대는 백혈구
여기서는 인간의 면역기능에 관해서 상세한 이야기를 해보자.
불가사의하게도 인간의 신체에는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 외부 적의 침입을 방어하는 중요한 장치가 준비되어 있다.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이 피부로부터 침입하게되면 땀이나 피부의 분비물이 이것을 격퇴시킨다.

땀이나 피부의 분비물에는 산성도가 높은 젖산이나 지방산 등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 외부 적의 침입을 방어할 수 있는 것이다. 입이나 코 등의 점막으로부터 침입하려는 병원균에는 침이나 콧구멍의 분비물이 방어에 나서고 있지만 이 방어선을 돌파하여 들어온 적에게는 또한 산도가 높은 위액이 기다리고 있다가 침입을 저지한다.

이 방어선도 돌파하여 신체 내에 깊숙이 침입하여 온 외부 적에 대해서는 이번에는 단백질 레벨에서 침입을 막는 체액성 면역과 백혈구 레벨에서 방어를 하는 세포성 면역이 싸움에 맞선다. 어느 쪽이나 체외로부터 침입하여 들어온 이물질이나 자기세포 중에서 불필요하게 된 것을 신체로부터 제거하려는 성질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가려내어진 백혈구는 최후의 승자가 된다.

인간의 혈액은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의 세가지로 분류될 수 있으며, 그 중에서 신체의 면역 기능으로 핵심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이 이 백혈구인 것이다.

백혈구는 더 나아가 호중구, 호산구, 호염기구의 세가지로 만들어진 과립구 이외에 림프구, 마크로파지, 그리고 내추럴킬러세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중에서 림프구는 흉선에서 성장하는 T임파세포와 골수에서 성장하는 B임파세포의 2종류로 나누어진다. 또한 T임파세포는 helper T세포, suppressor T세포, killer T세포, memory T세포 등으로, B임파세포는 형질 세포로 점차 분화되고 있다.

신체 내에 깊숙이 외부 적이 침입하여오면 백혈구내의 호중구, 마크로파지가 먼저 전위부대로서 출동을 개시한다. 특히 마크로파지는 이물질을 잡아먹어 죽이는 방법으로 퇴치하여 대식 세포라 불리고 있다. 평소 신체 내를 순찰하며 돌아다니고 있는 내츄럴킬러 세포(NK세포)도 말하면 시민방위대로써 여기에 참가한다. 내츄럴킬러 세포는 공격의 대상이 되는 세포에 결합 하여 그 활동을 억제시킨다. 그리고 그 침입자가 적으로 판단되는 경우는 이러한 것들이 공동으로 공격에 참가하게 된다.

만약 이 세 개의 연합군이 방어에 실패하면 마크로파지는 직접 사이토카인이라고 불리는 물질을 분비하기 시작한다. 사이토카인은 적에게 목인을 달아 그 소재를 알기 쉽게 하기 때문에 적의 정보를 다음의 방위대인 림프구에 전할 수 있다. 말하자면 마크로파지가 전령역을 하고 있는 것이다.

백혈구를 구성하는 주요 세포와 그 기능 림프구가 사이토카인에 의하여 얻게되는 정보를 받으면 그것을 토대로 면역글로블린이라고 하는 항체를 대량 생산하여 적의 퇴격에 참가한다. 결국 적을 공격하기 위한 최적의 무기를 생산하여 주력부대가 되어 전장에 나아가는 것이다.

백혈구의 중에서 전위부대인 마크로파지와 주력부대인 림프구는 말하자면 정규군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고, 한편 시민방위대로는 내츄럴킬러 세포가 존재하는 것이다.

내부로 들어온 적의 적발이나 격퇴에 가장 능력을 발휘하는 것이 내츄럴킬러 세포이다. 정규군의 림프구와 마크로파지는 바이러스와 같은 외부 적에 대하여 우수한 방위력을 발휘하지만 정상적인 체내의 세포가 돌연변이될 수 있는 내부의 적, 예를 들면 암세포등에 대해서는 힘을 발휘할 수 없다.

우리들의 세포는 끊임없이 분열, 재생산을 반복하고 있고 그 가운데에서 몇개인가는 암유전제 의해 암화되고 있다고 생각되어 오고 있으나 끊임없이 체내를 순찰하여 그러한 암유전자를 샅샅이 퇴치하고 돌아오는 것이 이 내츄럴킬러세포인 것이다.

(4) β-glucan은 면역세포를 활성화한다
미국 하버드 대학의 연구그룹은 이와 같은 백혈구 중의 전위부대인 마크로파지의 표면에 "β-glucan 1,3"와 결합된 receptor (수용기)가 존재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그 receptor에 "β-glucan 1,3"이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마크로파지의 활동이 돌연 활발하게 된다는 것을 알게되고 그 연구보고는 1991년 6월호의 Medical Journal지에 발표되었다.

처음 이 발견은 효모의 연구에서부터 시작되었다. 효모의 추출물 중에 강력한 면역 증강 작용과 항산화작용을 가진 물질이 함유되어 있다는 사실이 1940년대에 알려진 것이었어나 이것이 "β-glucan 1,3"라고 하는 것이 판명되기까지는 거의 20년의 세월이 걸렸다. 미국 트라넬대학의 연구그릅이 밝혀낸 것이다.

하바드대의 연구그룹은 이 트라넬대학의 "β-glucan 1,3" 발견의 성과를 인계하여 그 후에도 연구를 계속하였다. 그것이 마크로파지의 receptor 발견에 이르게되었고, 또한 면역세포의 활성화에는 "β-glucan 1,3-1,6"이가장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밝혀지게 되었다.
"β-glucan 1,3-1,6"이체내에 도입되면 마크로파지는 자극을 받아 대량의 사이토카인을 분비하기 시작한다.

앞에서도 서술한바와 같이 사이토카인은 백혈구 중의 림프구의 기능을 높이는 작용을 하고 있다. 림프구는 바이러스 등의 외부 적을 죽이는 작용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것이 늘어나게 되면 이론적으로는 면역기능이 증대되는 것이다.

결국 "β-glucan 1,3-1,6"는 방위군의 중핵조직으로 림프구의 활동을 활성화시켜주는 기폭제가 된다. 말하자면 전장의 전방부대에 탄약이나 식료를 공급하는 병참조직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것이다. "β-glucan 1,3-1,6" 자체는 외부 적을 퇴치하는 힘은 없지만 외부 적과 싸우는 림프구의 후방지원을 수행하는 강력한 부대인 것이다.

그러나 백혈구 중에도 번거로운 세력 싸움이 있다. 림프구가 대량의 항체를 생산하면 반대로 내츄럴킬러 세포의 활동은 줄어들게 되고 마는 것이다.

정규군이 활기를 띠게되면 민간의 시민방위군의 역할이 작게되어 인간사회와 같은 현상이 된다. 신체의 조절이 악화되고 외부 적이 침입하기 쉬운 상태가 되어 림프구의 활동이 활발화되는 한편 내츄럴킬러 세포의 활성은 저하되고 마는 것이다. 그 결과 암세포의 증식을 간과하기 쉽게 되고 마는 것이다.

그러나 "β-glucan 1,3-1,6"에는 림프구를 활성화시키는 동시에 그와 같은 세력 싸움을 일으키지 않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림프구의 수를 증식시키는 동시에 내츄럴킬러 세포도 증식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암세포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5) β-(1-3) D glucan을 대량으로 함유하고 있는 “꽃송이버섯”
"β-glucan 1,3-1,6"가 아가리쿠스, 표고버섯, 에스히로버섯 등의 버섯 이외에도 함유되어 있다는 것은 전술한 바 있다.

그 중에서도 최근에 와서 주목을 모으고 있는 것이 β-(1-30Dglucan이다.
- 글루칸에는 그 분기구조에 따라 β(1→4),β(1→6),β(1→3)등이 있다.
β(1→4)글루칸은 셀룰로스를 말하는 것이고,β(1→6)글루칸은 신령버섯(아가리쿠스)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성분으로 2001년 3월말에 일본약학회에서 동경댜약학대 오노교수가 발표한 실험결과에서 암에 효과가 없음이 입증되었다고 한다.

아가리쿠스는 브리질에서 노지 재배로 생산한 버섯을 분석했지만 β(1-3)을 주결합으로 하는 다당은 거의 검출되지 않았다고 한다.
- β(1→3)글루칸의 경우도 글루코스의 분기 구조에 따라 두 종류가 있는데, 실제로 항암 작용에 효과가 있는 것은 그 중 β16위에서 분기하는 β(1→3)D 글루칸이다.
인간의 면역체계는 macrophage나 natural killer cells과 같은 면역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신체내에 유입된 암세포나 바이러스와 같은 비자기 물질을 찾아내 둘러싸서 제거 하는데 면역시스템이 약해지면 신체내의 비자기물질을 찾아내 둘러싸게 제거하는데 면역 시스템이 약해지면 신체내의 비자기물질을 정상세포와 식별하는 능력이 떨어지게 된다.

β(1→3)글루칸은 이러한 macrophage나 natural killer cells 인터페론 등을 자극하여 인체의 면역기능을 끌어 올리며 항암제 치료의 부작용을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

항암성분,β-(13)D-glucan이 100%인 버섯은 꽃송이버섯 뿐
- 꽃송이버섯의 베타글루칸은 종래 실시하던 열수추출,냉알칼리추출,열알칼리 추출을 순차 적인 방법으로 실시했고,분석결과 6분기 β-(1-3)-glucan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여기서 특히 관심을 끄는 것은 꽃송이버섯에서는 다른 성분은 거의 없고 추출물 자체가 β-(1-3)D-glucan이었던 것이다. 이것은 다른 버섯에는 없는 꽃송이버섯만의 큰 특징이다.

연구성과의 일부는 1999년 3월 일본약학회에 보고되었고 그 내용이 TV와 신문에서 보도 되어 큰 화제를 모았다.

음성인 암에 효과적인 버섯은 양성인 꽃송이버섯뿐
- 음양론에서 보면 버섯류는 일반적으로 음성인데,음성의 질병인 암환지에게 버섯을 복용시키면 음성체질이 더욱 진행될수 있다.

 

 

 

추 가(오토모 ootomo.co.kr에서)

 

 

 

- 꽃송이버섯(Sparassis crispa)은 민주름버섯목 꽃송이버섯과에 속하는 온성버섯으로 일본명은 하나비라타케(ハナビラタケ) 영어명은 Cauliflower Mushroom입니다.
- 씹는 맛이 좋고 송이버섯과 같은 향이 나며, 야생버섯이 매우 희귀하고 공재배가 매우 까다로워 '환상의 버섯'이라고도 합니다.
- 베타글루칸의 함량아가리쿠스의 3-4배인 40%대 입니다.

● 추출 및 음용 방법
- 배송된 제품에 포함된 설명서나 오투모 홈페이지 www.ootomo.co.kr내 제품 및 판매안내 메뉴를 참조바랍니다.
- 물에 끓이는 열수추출이 번거로울실 경우 시중에서 판매하는 홍삼추출기를 이용하시고 추출후 나온 버섯은 찌개나 국에 넣어드시면 더욱 좋습니다.
- 일본의 임상결과를 보면 최소 6개월이상 장복을 필요로 합니다.

● 하나꽃송이버섯의 특징
- 식품분류상 식품주원료로 등록된 꽃송이버섯 (식품 의약품 안전청)
- 농림부 농림 기술 개발 과제 주관 연구(하나 바이오텍, 농림 기술 관리 센터) 꽃송이버섯 대량 생산체계 확립
- 한국농전 장현유교수, 충남대 약학대 정경수 교수 협력 연구
-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 및 동정 분류 (마크로젠, 미국 생물 정보 센터)
- 염기서열 644개, NCBI 대조결과 100% Sparassis crispa 種
- 베타글루칸 함량 46.3%및 영양 성분 분석 (일본 식품 분석 센터)
- 분석시험성적서 제 104083463-002호
- 분석시험 성적서 제 102091283-001호
- 동물 임상실험 (한국 한의학 연구원, 충남대 약학대 의약품 개발 연구소)
- 꽃송이버섯 품종 생산 판매 신고 및 명칭 등록 (국립 종자 관리소) 
   : 신고 번호 07-0017-2002-1
   : 품종 명칭 등록번호 2002-1319
- 꽃송이버섯 인공 재배 특허 및 상표 등록(특허청)

   : 꽃송이버섯 인공재배 특허 등록 (제 0449947 호), 하나꽃송이버섯 상표 등록 (제 0593956 호)
- 친환경농산물 인증 (국립 농산물 품질 관리원) 인증부문 : 무농약농산물 인증번호 : 제10-26-3-12호

 

- 냉장고에 보관하시고 가급적 1개월 이내에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보관 중 버섯이 건조된 경우 물에 끓여서 물대신 음용하시거나 각종 요리에 이용하셔도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