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용접봉 규격, 종류, 특성

Illinois 2010. 8. 28. 11:28

1. 규격표시
예) E43XY
E: Electrode(전극봉)
43: 43kg/mm2
X: 용접자세
0,1: 전자세
2: 아래보기 및 수평필렛 용접
3: 아래보기
4: 특정자세 용접
Y: 피복제의 종류(극성에 영향) - 용착금속의 품질,아크성질 등 특성

 

2. 종류
저수소계(E4316)
가) 석회석 또는 형석(CaF2)을 주성분으로 한 피복제
나) 용착금속의 수소량이 다른 용접봉에 비해 대단히 적다
다) 용착금속의 인성과 기계적성질이 좋다
라) 균열에 대한 감수성이 좋다
마) 아크가 약간 불안정하고 슬랙의 유동성도 나쁘다
바) 고장력강,고탄소강,쾌삭강 용접에 사용
사) 피복제는 흡습하기 쉽기 때문에 사용전 300~350도 정도로 30~60분 건조후 사용

 

3. 용접봉 흡습량
흡습량(%) = (W-W1)/W*100%
W: 흡습된 피복제 중량(KG)
W1: 건조된 피복제 중량(KG)

 

4. 용접봉 흡습시 문제점
1) 작업성 저하
2) 내균열성 저하
3) 아크 불안정
4) 스패터발생량 증가
5) 외관불량
6) 언더컷 발생

 

5. 용접봉 흡습 방지책
저수소계(E4306)]
한계흡습량(%): 0.5%
한계흡습도달시간: 4
건조온도 및 건조시간: 300~350도,30~60분
보온조건: 100~150도

 

6. 용접봉 사용시 주의사항
1) 일정시간 이상 외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2) 일정시간 외기에 노출된 경우는 재건조
3) 용접봉 재건조 회수는 2회를 초과해서는 안된다
4) 용접봉 건조하기 전에 피복의 균열이나 피복내에 함유된 합금의 산화를 막기위해 저온으로부터 서서히 85도로 1~2시간 동안 예비건조 시행

 

7. 용접봉 선택
1) 용접봉의 작업성
아크안정,스패터,슬랙,용융점,점성,응고온도변화,표면장력등의 성질에 따라 결정되며 적당한 용접봉 선택
2) 용접봉의 용접성
내균열성의 정도,용접후 변형의 정도,내부결함,금속의 기계적성질을 통털어 용접성이라 하며 용접성 좋은 용접봉 선택해야 한다.

'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계도면 약어 등  (0) 2010.09.11
ASTM의 구성 및 강재규격  (0) 2010.09.03
철근 국내산과 수입산 비교  (0) 2010.08.28
세계 규격집 약어  (0) 2010.08.25
[스크랩] CAD→포토샵 ( EPS 파일 만드는 방법 )  (0) 2007.04.16